의료급여 1종 2종 차이점 완벽정리! 2025년 최신 혜택 한눈에 보기

의료급여 1종 2종 차이점이 궁금하신가요? 2025년 기준 수술비, MRI, 응급실, 치과 진료, 요양병원 등 모든 혜택과 본인부담금 차이를 정리했습니다. 반드시 확인하세요!

의료급여란?

의료급여는 생활이 어려운 저소득층 국민의 치료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공공부조 제도입니다. 건강보험과는 별도로 운영되며, 대상자는 ‘의료급여 1종’ 또는 ‘2종’으로 나뉘어 다양한 의료 혜택을 받게 됩니다.


의료급여 1종 vs 2종, 구분 기준은?

구분의료급여 1종의료급여 2종
대상자근로능력 없는 기초생활수급자 (65세 이상, 18세 미만, 중증장애인 등)근로능력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기타 포함희귀난치질환자, 이재민, 의사자 가족 등1종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 수급자

본인부담금 차이 한눈에 비교

① 외래 진료

  • 1종:
    • 의원: 1,000~2,000원
    • 병원: 1,500~2,500원
    • 종합병원: 2,000~2,500원 (정액제)
  • 2종:
    • 의원: 진료비의 15% 또는 1,000원
    • 병원·종합병원: 진료비의 15%

② 입원 진료

  • 1종: 전액 무료 (정신과·요양병원 포함)
  • 2종: 진료비의 10% 본인부담

③ MRI 검사

  • 1종: 무료 (의료급여비용에 포함)
  • 2종: 검사비의 15% 본인부담

④ 수술비

  • 1종: 외래·입원·응급 모두 본인부담 없음
  • 2종:
    • 외래 수술: 15%
    • 입원 수술: 10%
    • 응급 수술: 10~15%

⑤ 응급실 이용

  • 1종: 진료비, 검사비, 처치비 모두 무료
  • 2종: 진료비의 15% 부담 (응급은 의료급여 의뢰서 없이 이용 가능)

⑥ 치과 진료

  • 1종:
    • 치과의원: 1,000~2,000원
    • 치과병원: 1,500~2,500원
    • Cone Beam CT: 5% 부담
  • 2종: 진료비 및 CT 비용의 15% 부담

⑦ 임플란트 & 틀니

항목1종2종
임플란트 (65세 이상, 평생 2개)본인부담 10%본인부담 20%
틀니 (65세 이상)본인부담 5%본인부담 15%
급여 주기7년에 1회7년에 1회

요양병원 이용 시 차이

항목1종2종
입원비전액 무료10% 본인부담
급여일수 상한질환별 기준 적용질환별 기준 적용
상한제 적용없음연간 120만 원 한도 (240일 초과 시)

본인부담 상한제 및 보상제

  • 1종:
    • 30일간 2만 원 초과 시 → 50% 보상
    • 30일간 5만 원 초과 시 → 전액 지원
  • 2종:
    • 30일간 20만 원 초과 시 → 50% 보상
    • 연간 80만 원 초과 시 → 초과금 전액 지원
    • 요양병원 특례: 연 120만 원 한도

의료급여 진료 절차

단계내용
1차 기관의원, 보건소 등
2차 기관병원, 종합병원
3차 기관대학병원 등 고난도 진료

※ 2차 이상 의료기관 진료 시 의료급여 의뢰서 필수 제출
(유효기간: 7일, 미지참 시 전액 본인부담)


급여일수 제한 기준

질환 유형연간 급여일수
등록 중증·희귀질환365일
만성고시질환380일
기타 질환연간 400일

※ 필요시 1·2차 연장 승인 가능


건강생활유지비 지원 (2025년 기준)

  • 1종/2종 모두: 매월 12,000원 지급
  • 용도: 외래 진료 시 본인부담금 활용
  • 2025년부터 기존 6,000원 → 12,000원으로 인상

의료급여 1종/2종 활용 꿀팁

1종 수급자라면?

  • MRI 등 고비용 검사 무료 → 검사 적극 활용
  • 건강생활유지비 활용해 외래 진료비 절약
  • 선택의료기관 이용 시 외래 본인부담 면제

2종 수급자라면?

  • 본인부담 상한제 활용 (연 80만 원 초과 시 지원)
  • 1차 의료기관 중심 진료 → 비용 최소화
  • 건강생활유지비(12,000원)로 외래 진료비 부담 완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의료급여 1종과 2종의 가장 큰 차이는?

A. 1종은 대부분 무료, 2종은 10~15% 본인부담이 발생합니다.
MRI, 수술, 응급실 이용 시 부담 차이가 큽니다.

Q2. 의료급여 2종도 요양병원 이용 가능한가요?

A. 네. 진료비의 10%만 부담하면 됩니다.
연간 240일 초과 시에도 120만 원 상한 적용.

Q3. 1종 수급자는 MRI를 정말 무료로 받을 수 있나요?

A. 네. MRI는 의료급여비용에 포함되어 무료입니다.

Q4. 임플란트는 누구나 지원받을 수 있나요?

A. 65세 이상 부분 무치악자만 해당되며, 평생 2개까지 급여 적용.
본인부담은 1종 10%, 2종 20%입니다.


✅ 마무리

의료급여 1종과 2종은 저소득층의 건강권을 보장하는 핵심 제도입니다.
2025년부터 본인부담 상한제, 건강생활유지비, MRI 혜택 등 다양한 제도가 개선되면서 수급자의 의료비 부담이 한층 줄어들고 있습니다.

자신이 어떤 수급 유형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제도별 혜택을 최대한 활용
해 보세요!


📌 더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또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과 공유 부탁드립니다!

고효율 에어컨 구매 가이드 꿀팁(+소상공인 정부 교체 지원금 신청방법)

국민연금 납부액 예상수령액 조회방법

가입사실현황조회 방법 PASS 패스앱 엠세이퍼 사용방법

댓글 남기기